
nestJS CLI 이용해서 CRUD 작성해보기
2022. 10. 20. 16:36
오늘의 공부 정리
새로운 폴더를 생성해서 또 같은 CRUD를 작성하고, 모듈에 추가하고 하는 등의 반복작업을 하던 중 nestjs docs에 나와있는 CLI를 활용해서 이를 간편하게 만들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. 나만 힘들게 직접 다 만들고 그랬던거야.. 아무튼 CLI란 command-line interface 의 약자로 가상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뜻한다. 따라서 이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해서 nestj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써보았다. 폴더 구조를 작성할때 가장 기본적으로는 Module, controller(Resolver), Service를 작성하고 각각의 파일에는 기본적인 구조가 정해져있다 (모듈에 provider를 추가한다거나 resolver에서 service를 ..

30. Big-Query
2022. 8. 23. 22:54
오늘의 공부 정리
GCP를 사용해보기 위해서 공부하던 중 Big Query에 대해서 아게 되었고 이에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적어보려한다.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큰 SQL 쿼리를 빠르게 수행해주도록 도와주는 GCP의 서비스였는데 직관적인 이름에 비해 생각보다 어려운 내용을 의미하는 듯 해서 완벽히 이해하는것이 좀 어려웠지만 그래도 내가 아는것 까지 정리해놓아야지! Big-Query? 비즈니스 민첩성을 확보하도록 설계된 서버리스 멀티 클라우드 데이터 웨어하우스로, 높은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갖추고 있습니다. 구글 클라우드 사이트의 Big-Query에 대한 설명이다. 이게 무엇이길래 GCP에서 무료 크레딧까지 주면서 우리 서비스 이용해보세요~ 하는걸까? Big-Query란 대용량 데이타셋을 대화식으로 분석할 수 있는 웹서비스이..

20. DTO
2022. 8. 16. 15:01
오늘의 공부 정리
playground에서 api를 테스트해보기 위해 들어가보면 docs에서 어떤 항목을 적어야 하는지가 나와있다. 이때 작성해야할 항목을 하나하나 바로 보여주지 않고 이를테면 createinput 과같이 객체처럼 그 객체안의 내용을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. 나중에 다시 보니 이는 DTO를 통해 작성한 구조였으며 DTO는 생각보다 더 많은 개념을 갖고 있었다. 그 개념과 활용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. DTO의 개념 그림에서 볼 수 있듯 DTO는 각 계층 사이사이에 존재한다. 즉 DTO란(Data Transfer Object) 데이터 전송 객체라는 이름으로 해석되며 말그대로 데이터를 담은 객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. 근데 단순히 데이터를 담은 객체가 아니라 그 안에 어떤 데이터를 어떤 타입으로 적어주었는지를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