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각 언어별 유명한 프레임워크
자바 - 스프링
파이썬 - 장고
자바스크립트 - Nest
이중 자바의 스프링과 자바스크립트의 Nest는 DI(의존성부여) 특징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는다. DI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정리해보려한다. 사실 나도 아직 확실하게 포스팅할 정도로 정리되지 않아서 나부터 좀 정리를...
NestJS의 보일러 플레이트(초기폴더구조)
처음 프레임워크를 설치했을때 기본으로 세팅되어있는 설치파일목록 (초기폴더구조)
코드를 테스트 해볼 수 있는 test폴더, 코드문법규칙을 통일시켜주는 lintrc파일, 들여쓰기 등의 코드정리규칙을 통일시켜주는 포멧터 파일, 등등이 있다. 또한 기본적으로 TypeScript관련 파일이 설치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다. 내 프로젝트를 README에 적어서 설명하면 된다. 마지막으로는 본인이 설치한 패키지들으 버전을 관리 할 수 있도록 yarn.lock파일이 있다.
- packasge.json 폴더
실행할때 필요한 패키지들(dependencies), VScode에서 필요한 패키지(devDependencies)들이 구분된다. 전자의 경우 'yarn add 패키지명' 명령어를 통해 설치할 수 있으며 후자는 'yarn add 패키지명 --dev' 으로 설치할 수 있다. 왜 나누었을까? 개발을 다 하고 배포할때에는 VScode에서만 필요한 패키지파일들이 필요가 없어진다. 따라서 사실 둘다 섞여있어도 동작에는 문제가 없지만 배포단계에서 필요한 용량만큼만 설치해서 최적화하기 위해서 미리 구분을 해놓는다.
'오늘의 공부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4. Scraping & Crawling (0) | 2022.08.06 |
---|---|
13. 결제 서비스 구현하기 (feat. iamport) (0) | 2022.08.05 |
11. TypeORM (0) | 2022.08.04 |
10. TypeScript (부제_타입추론) (0) | 2022.08.03 |
09. Husky (0) | 2022.07.29 |